플라즈밍
플라즈마 IT
플라즈밍
  • All (163)
    • MindSet (2)
    • Wisdom (8)
    • Book (18)
    • [Web] (6)
      • [Web]Guide (2)
      • [Web]HTML-CSS-JS (1)
      • [Web]ReactJS (0)
      • [Web]NextJS (1)
    • 퀀트주식투자 (4)
      • [리포트]포트폴리오 (4)
    • 자산배분전략 (2)
      • [리포트]자산배분전략 (1)
    • 포트폴리오 (0)
      • 발걸음 (0)
    • 개발 Note (3)
    • TipNote (5)
    • 알고리즘 (27)
      • 백준[BOJ] 오답노트 (27)
      • 백준[BOJ] 강의 정리 노트 (0)
    • etc-posts (18)
      • Unity :: C# 튜토리얼 (18)
    • Web&Know (23)
    • 끄적임 (4)
    • 세상이슈 (0)
    • Youtube 유튜브 (3)
      • Youtube 채널소개 (3)
    • 창업 Know&Idea (1)
    • Web&Dev (4)
    • 프로젝트 (6)
      • Unity5 Project (3)
      • UnrealEngine4 Project (2)
      • Web Page (1)
    • 주가차트-기술적분석 (2)
    • BlockChain (7)
    • SystemDesign (11)

인기 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플라즈밍

플라즈마 IT

[쉽게 이해하는 블록체인 A-Z] 1.2 Immutable ledger,분산 P2P Network
BlockChain

[쉽게 이해하는 블록체인 A-Z] 1.2 Immutable ledger,분산 P2P Network

2023. 1. 23. 19:11
반응형

쉽게 이해하는 블록체인, 불변 원장(Immutable ledger),분산 P2P Network에 대해 개략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Immutable ledger

Immutable ledger

immutable이란 블변하다 라는 의미 입니다. 변하지 않는다는 뜻이죠.

ledger는 원장, 장부 입니다. 장부란 거래를 기록한 종이라고 생각하죠.

 

부동산 거래를 통해 A가 B에게 집을 넘기면 B는 새로운 집에서 살게 됩니다. 

하지만 누군가가와서 이 집이 내것이라고 주장하면 B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바로 A를 통해 이 집을 샀다는 증거를 보여주어야 합니다. 그러한 거래들을 모두 모아둔것이 장부 입니다. 

 

부동산 거래 내역을 정부에 신고하여 , 장부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장부들이 보관된 장소나 데이터에비스가 손상이 되면 어떻게 될까요? 

내 집이 내집이라는 증거가 실제 사라지게 됩니다. 

 

여기서 장부가 없어지거나 변형된다면 mutable ( 변하는 ) 장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서 변하지 않는 장부를 만드는것이 가능합니다.! 

 

누군가가 블록의 데이터를 변경한다면, 블록이 가진 해쉬값은 변경이 되고, 다음의 블록은 이전의 블록해쉬값과 다르게 되므로 장부가 변했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분산 P2P Network

분산 P2P Network

지금까지 내용으로는 불변하는 원장의 특성을 가진 블록체인 자료구조가 하나의 컴퓨터 안에서 존재 할 수 있습니다. 

블록과 블록 사이 신뢰도 있는 정보가 하나의 노드(컴퓨터)에 저장된 것이죠. 

 

이런 블록체인 데이터를 전세계 컴퓨터에 퍼트려보는 상상을 합니다. 

각각의 컴퓨터는 Peer가 되고 N개의 Peer와 M개의 Peer들은 서로를 알고 있습니다. 

서로 연결되었으니 네트워크가 형성이 되고, 이를 분산 P2P Network 라고 합니다. 

 

여기서 하나의 Peer를 해킹해서 블록을 변조해 봅니다. 기꺼의 하나의 블록체인을 해킹하였지만 

P2P 네트워크에서는 서로의 블록들을 알고있고 비교를 통해서 대다수의 컴퓨터가 말해줄 수 있습니다. 

너의 블록체인이 변조가 되었다고,

대다수의 컴퓨터의 블록체인 정보가 맞다는 가정으로 변조된 블록을 복구시킬 수 있습니다. 

 

P2P 네트워크는 커지면 커질수록 블록체인의 해킹이 어려워지고, 51%가 넘는 Peer를 해킹해야 블록전체를 해킹할 수 있습니다. 

 

보안의 수준을 2단계로 높였다.

1.블록과 블록 사이 SHA256 알고리즘으로 데이터 보안

2.분산 P2P Network 에서 합의에 의해 데이터 보안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게 이해하는 블록체인 A-Z] 1.5 암호화폐Layer, 에코시스템, 통화정책, 채굴난이도  (1) 2023.03.05
[쉽게 이해하는 블록체인 A-Z] 1.4 컨센서스 프로토콜, PoW, 블록체인 데모  (0) 2023.03.05
[블록체인 지표] 500% 돈버는 온체인 지표 보는 법  (0) 2023.01.27
[쉽게 이해하는 블록체인 A-Z] 1.3 논스, 골든논스,비잔틴 장애 허용(BFT; Byzantine Fault Tolerance)  (0) 2023.01.24
[쉽게 이해하는 블록체인 A-Z] 1.1 블록체인 이란, SHA256  (0) 2023.01.23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쉽게 이해하는 블록체인 A-Z] 1.4 컨센서스 프로토콜, PoW, 블록체인 데모
    • [블록체인 지표] 500% 돈버는 온체인 지표 보는 법
    • [쉽게 이해하는 블록체인 A-Z] 1.3 논스, 골든논스,비잔틴 장애 허용(BFT; Byzantine Fault Tolerance)
    • [쉽게 이해하는 블록체인 A-Z] 1.1 블록체인 이란, SHA256
    플라즈밍
    플라즈밍
    퀀트 주식투자 자산배분 데이터분석 정보 공유 프로그래밍,투자 주제의 책 강의 리뷰 노하우 전수

    티스토리툴바